loading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광명시 도덕산 출렁다리를 가다 - 철산배수지공원 방면

오랜만에 화성에서 다른 별로 놀러 갔습니다. 우연히 검색 도중에 광명시 도덕산 출렁다리를 보게 되었습니다. 전국에 몇개 없는 Y자형 출렁다리라 하여 신기하더군요. 네이버지도에서 도덕산 출렁다리를 검색하여 내비게이션 작동하여 출발~~~ 1. 네이버지도 검색 도덕산 출렁다리 2. 입구 도착 출렁다리 입구인줄 알았는데 등산로 입구입니다. 주차장이 안 보여서 등산로 입구 곁에 주차하고 들어가 보았습니다. 안내도를 보니 왼쪽에 우회길이 있고 오른쪽으로 야생화단지를 거쳐 인공폭포 쪽으로 가는 길이 있으니 오른쪽으로 가자고 결정했습니다. 사전 검색에서 인공폭포에 출렁다리가 있다 하여 트래킹 겸 해서 오른 길로 출발 3. 야생화단지 입구 부터 알록달록 하네요 처음 보이는 것이 산속에 간이 도서관이 있네요. 방문 시간이..

화성에서 살기 2023. 11. 1. 18:47
경기도 지원제도 - 청년기본소득 2023년 4분기 모집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4분기 신청이 시작되었습니다. 청년기본소득에 대해 자세한 내용 및 신청에 대해 알아봅니다. 1. 청년기본소득이 뭔가요? 국가에서 시행하는 여러 지원제도 중에 **기본소득의 표현으로 지원하는 사업들이 많이 있습니다. 이러한 기본소득 지원제도는 국가가 국민에게 최소한의 인간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무조건 적인 지원이 있을 수도 있고 일정한 조건하의 대상에게 지원하는 제도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또한 국가가 직접 지원하는 경우도 있고 각 시,도별 지자체 별로 개별 시행하는 제도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지원 사업도 이러한 범주에 속하는 지원제도로서 행복추구, 삶의 질 향상, 건강 수준 향상 등 청년의 사회적 기본권 보장을 위하여 경기..

화성에서 살기 2023. 11. 1. 16:54
농민기본소득 알아보기

경기도 농민기본소득에 대해 궁금한 것이 많아 알아봅니다. 1. 농민기본소득과 농촌기본소득 농민기본소득은 농민 생존권을 보장하고 농업과 농촌의 공익적 가치에 대한 사화적 보상 및 지속가능성을 유지하기 위해 시행하는 사업입니다. 매년 초 1회 신청하며 이후 신청기간이 지나 지원을 못한 농민들을 위해 각 시별로 2차 3차 추가 지원을 받습니다. 월간 5만 원을 기준으로 년간 60만 원 한도로 지역화폐 형태로 지원하여 농민들의 기본 생존권 보장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습니다. 농가 단위가 아닌 농민 개별에게 지급하여 농민의 기본권 보장을 통해 농민의 생존권 위협을 제거하고 농업 농촌의 공익적 가치를 지속적으로 보전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이와 비슷한 것이 농촌기본소득이라는 지원 정책이 있는데 이는 농민 ..

화성에서 살기 2023. 11. 1. 15:22
명리학 공부일지-4

오행 상세 음양오행론의 상세 설명을 배워 봅니다 세상이 음과 양의 큰 틀속에서 오행의 조화로 굴러갑니다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 의 상세한 공부를 이어갑니다. 1. 목 목(木)은 대표적으로 나무를 뜻하지만 생명의 발현과 성장을 큰 의미로 이해하면 좋습니다. 오행의 상생을 이해하였으면 물의 기운으로 생명이 잉태가 되면 그 성장을 목(木)이라고 봅니다. 기본 성질은 성장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계절로는 봄에 해당되며 사람으로 치면 10대의 청소년기라 할 수 있습니다. 푸릇 푸릇한 모습이니 색깔로는 파란색이며 방향으로는 동쪽에 해당됩니다. 지리적으로는 동쪽이니 우리나라를 목국(木國)이라 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안에서도 강원도가 해당됩니다. 완숙되지 않았기에 그맛은 신맛에 해당합니다. 신..

동양철학 연구 2023. 10. 25. 18:25
이전 1 2 3 4 5 6 ··· 19 다음
이전 다음

티스토리툴바

운영자 : 흑모은모
제작 : 아로스
Copyrights © 2022 All Rights Reserved by (주)아백.

※ 해당 웹사이트는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금융 상품 판매 및 중개의 목적이 아닌 정보만 전달합니다. 또한, 어떠한 지적재산권 또한 침해하지 않고 있음을 명시합니다. 조회, 신청 및 다운로드와 같은 편의 서비스에 관한 내용은 관련 처리기관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