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학의 기초 - 음양오행론 명리학의 기초는 음양오행론에서 시작합니다. 1. 음양(陰陽) 음양(陰陽)은 말 그대로 어두운 곳과 밝은 곳을 말합니다. 서로 반대의 뜻을 가지고 있지만 서로 없으면 안 되는 개념이고 서로 도와주기도 합니다. 밝은 곳은 뒤에는 반드시 어두운 곳이 있고 햇빛이 비추면 그림자가 생기는 것 처럼 늘 같이 공존합니다. 밝은 곳은 어두운 곳이 되고 어두운 곳은 밝은 곳이 되기도 합니다. 음양은 떨어지려야 떨어질 수 없는 개념입니다. 손등이 있으면 손바닥이 있고 낮이 있으면 밤이 있고 산에 볕이 들면 반대에는 그림자가 드리웁니다, 음양은 그래서 서로 공존하는 공존성이 있으며, 상대성이 있고 서로 변하는 변화성이 있습니다. 2. 오행(五行) 오행이라 함은 음양의 변화를 다섯가지 형태로 구분..
엠피온 사의 무선하이패스 단말기 SET525 너무나 유명하지요? 출시된 지 꽤 된 기종이면서 아직까지도 생산되는 제품이고 많이 들 사용하고 있습니다. 요즘은 오래된 하이패스 보상판매 제품으로도 출시되고 있습니다. 저는 태양열 충전 거치대를 사용하여 1년에 한 번 정도 충전하면서 무난하게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최근들어 1주일도 안되었는데 하이패스가 작동이 안 돼 무엇이 문제일까 찾아보던 중 소모품인 배터리의 수명이 다되면 그런 현상이 발생한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엠피온 본사에 문의 하니 배터리 교체비용이 3만 원 정도이고 혹시나 메인보드에 문제가 있다면 거의 5만 원 정도의 비용이 발생할 수 있으니 신중히 생각해 보라 하더군요. 1. 대체 배터리 구매 인터넷을 검색해 보니 자가 교체하는 방법이 있다..
전골요리, 국물요리, 고기 구워 먹을 때도 좋고 저렴하면서도 쫄깃한 식감이 일품인 팽이버섯 솔직히 저는 약간 질긴 느낌이라 팽이버섯만 직접 먹을 때는 별로인데, 고기나 다른 요리재료 들과 곁들여 먹을 때는 나름 맛이 있더군요. 1. 팽이버섯의 유래 팽이버섯은 한국, 일본, 중국, 유럽, 북아메리카, 오스트레일리아 등에서 야생으로 분포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팽나무등의 활엽수의 죽은 가지에서 자라나서 팽나무버섯이라고도 부릅니다. 버섯대는 굵기 2~8mm, 길이 2~9cm이고 위아래의 굵기가 같으며 연골질입니다. 버섯대 표면은 어두운 갈색 또는 누런 갈색이고 윗부분이 색이 연하며 짧은 털이 촘촘하게 나 있습니다. 겨울에 쌓인 눈 속에서도 자라는 저온성 버섯입니다. 식용하거나 약용할 수 있습니다 영어로는 겨울버..
미래를 궁금해하고 나의 운명에 의문점을 해결하고자 찾는 사주철학관에서는 기본적으로 사주명리학을 근간으로 운명상담을 진행합니다. 흔히들 사주팔자에 대한 인식을 미신처럼 생각하는 선입관을 가지고 있지만 사주명리학은 과거 학문의 하나로서 존재할 만큼 과학적인 내면을 가지고 있습니다. 명리학의 이해 조선의 개국은 유교의 성리학(性理學)을 근간으로 한 철학 사상을 바탕에 두고 있습니다. 흔히들 유교에서 사서삼경(四書三經)이라는 책을 기본 경전으로 정하였지만 경전이라기보다는 기초 학습 도서로 볼 수 있습니다. 사서라 함은 《대학(大學)》ㆍ《논어(論語)》ㆍ《맹자(孟子)》ㆍ《중용(中庸)》 의 네 가지이며 삼경은 《시경(詩經)》ㆍ《서경(書經)》ㆍ《주역(周易)》 이중 주역을 역경이라고도 부르며 명리학의 내용을 담고 있습니..